서울시 생태계보전지역 지정관리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12:22
본문
Download : 서울시 생태계보전지역 지정관리 방향.hwp
.. , 서울시 생태계보전지역 지정관리 방향생활전문레포트 ,
여의도 한강에 위치한 밤섬은 도시 시가지로부터 완벽하게 고립된 지역으로 연안대가 잘 발달되어 수생 및 육상생물의 서식에 좋은 environment을 갖추고 있따..
Download : 서울시 생태계보전지역 지정관리 방향.hwp( 56 )
다. 80년대 올림픽을 앞두고 시행된 한강종합개발과정에서 철새서식지로서의 가치가 있어 밤섬을 존치하고 ꡑ88년 철새 도래지로 조성하기 위하여 갈대, 갯버들 등 58,000포기를 식재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출 수 있었다. 이에 우리시는 국내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ꡑ99. 3월 자연環境보전조례를 제정, 공포하였으며, ꡑ99년 하반기에는 밤섬을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레포트/생활전문
순서
여의도 한강에 위치한 밤섬은 도시 시가지로부터 완벽하게 고립된 지역으로 연안대가 잘 발달되어 수생 및 육상생물의 서식에 좋은 環境을 갖추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도심의 철새 도래지로서 생태적 보호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한강생태계 조사결과 밝혀졌다. 그러나 밤섬 보전을 위한 관련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밤섬 보전대책이 다소 체계적이지 못하고 적극적인 시책을 추진할 수 없었다.
밤섬에는 11과 25종의 조류, 52과 189종 식물, 10과 29종의 동 식물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한강생태계 조사결과 파악되었다. ꡑ68년 폭파해체 이후 낮고 조그마한 암반에 토사가 쌓이고 갈대가 돋아 숲을 이루고 급기야 천연기념물인 원앙이를 비롯 년중 철새가 끊이지 않는 생태보고를 이룬 것이다. 조류로는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 쇠부엉이, 원앙이 등 4종과 밤섬번식조류인 흰빰검둥오리, 개개비 등이 있으며 겨울철새 5,000여 마리가 찾아오고 있다 식물상으로는 습지식물인 버드나무, 갯버들등 관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갈대군락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등 조류의 서식장소로서 다양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시에서는 철새먹이주기 행사, 하절기 홍수에 따른 청소 및 서강대교에 방음벽설치 등 밤섬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기도 하였다.…(省略)
,생활전문,레포트






서울시 생태계보전지역 지정관리 방향
설명
여의도 한강에 위치한 밤섬은 도시 시가지로부터 완벽하게 고립된 지역으로 연안대가 잘 발달되어 수생 및 육상생물의 서식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ꡑ67년까지 밤섬에는 70여세대 400여명의 서울市民이 거주하였으나 ꡑ68년 여의도 개발시 토사와 석재를 사용하기 위하여 밤섬을 폭파해체하는 과정에서 지형지질이 change(변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