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ement.co.kr 실학의 선구자 구암 한백겸 > movement5 | movement.co.kr report

실학의 선구자 구암 한백겸 > movement5

본문 바로가기

movement5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실학의 선구자 구암 한백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20:32

본문




Download : 실학의 선구자 구암 한백겸.doc




구암집의 서문은 이식(李植)이 썼고 내용은 기전유제설(箕田遺制說)이 대표적이다. 구암의 저서로는 구암집(久庵集)과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가 있다. 구암의 저서로는 구암집(久庵集)과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가 있다. 또한 그는 주역(周易)과 예기(禮記)에 통달하여 선조께서 승하할 때는 빈전도감 당상(殯殿都監 堂上)을 맡았다. 그는 1585年 1月(宣祖 18년) 교정청(校正廳)이 신설 되면서부터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교정랑청(校正郞廳)이 되어 경서훈해(經書訓解)를 맡아 보다가 중부참봉, 내자사직장, 호조좌랑, 형조정랑, 청주목사, 판결사, 호조참의, 강원도안무사, 파주목사 (中部參奉, 內資寺直長, 戶曹佐郞, 刑曹正郞, 淸州牧事, 判決事,戶曹參議, 江源道按撫使, 破州牧使 등을 역임하면서 제세안민(濟世安民)을 위한 선정(善政)을 베풀었고 특히, 청주목사를 지낼 때는 정화의 덕(淨華之德)과 돈실의 정(敦實之政)이 베풀어 지고 문교(文敎)가 일어나 학풍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구암집의 서문은 이식(李植)이 썼고 내용은 기전유제설(箕田遺制說)이 대표적이다. 한백겸은 정경세(鄭經世). 정구(鄭逑). 김우옹(金宇옹). 홍가신(洪可臣). 이수광. 오운등 당생을 초월하여 당대의 명유들과 교유하였다. 한백겸은 정경세(鄭經世). 정구(鄭逑). 김우옹(金宇옹). 홍가신(洪可臣). 이수광. 오운등 당생을 초월하여 당대의 명유들과 교유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실학의 선구자 구암 한백겸
한국_중세사_레포트(report)




실학의%20선구자%20구암%20한백겸_doc_01.gif 실학의%20선구자%20구암%20한백겸_doc_02.gif 실학의%20선구자%20구암%20한백겸_doc_03.gif 실학의%20선구자%20구암%20한백겸_doc_04.gif 실학의%20선구자%20구암%20한백겸_doc_05.gif 실학의%20선구자%20구암%20한백겸_doc_06.gif

久庵 韓百謙의 자는 명길(鳴吉)이요, 호(號)는 久庵, 청주한씨(淸州韓氏) 가문으로 明宗 7년(1552)에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태어나 광해군(光海君) 7년에 졸(卒)하였다.

순서





Download : 실학의 선구자 구암 한백겸.doc( 84 )



久庵 韓百謙의 자는 명길(鳴吉)이요, 호(號)는 久庵, 청주한씨(淸州韓氏) 가문으로 明宗 7년(1552)에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태어나 광해군(光海君) 7년에 졸(卒)하였다. 한국_중세사_레포트 , 실학의 선구자 구암 한백겸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또한 그는 주역(周易)과 예기(禮記)에 통달하여 선조께서 승하할 때는 빈전도감 당상(殯殿都監 堂上)을 맡았다. 구암의 저서로는 구암집(久庵集)과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가 있따 구암집의 서문은 …(drop)


久庵 韓百謙의 자는 명길(鳴吉)이요, 호(號)는 久庵, 청주한씨(淸州韓氏) 가문으로 明宗 7년(1552)에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태어나 광해군(光海君) 7년에 졸(卒)하였다.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는 동국지리에 관계된 것을 고전에서 뽑아 구암의 견해를 붙인 책인 바, 고구려, 백제, 신라 등에 관한 기록을 중국의 고전에서 인용하고 자기의 의견을 더한 것이다. 그는 1585年 1月(宣祖 18년) 교정청(校正廳)이 신설 되면서부터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교정랑청(校正郞廳)이 되어 경서훈해(經書訓解)를 맡아 보다가 중부참봉, 내자사직장, 호조좌랑, 형조정랑, 청주목사, 판결사, 호조참의, 강원도안무사, 파주목사 (中部參奉, 內資寺直長, 戶曹佐郞, 刑曹正郞, 淸州牧事, 判決事,戶曹參議, 江源道按撫使, 破州牧使 등을 역임하면서 제세안민(濟世安民)을 위한 선정(善政)을 베풀었고 특히, 청주목사를 지낼 때는 정화의 덕(淨華之德)과 돈실의 정(敦實之政)이 베풀어 지고 문교(文敎)가 일어나 학풍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는 1585年 1月(宣祖 18년) 교정청(校正廳)이 신설 되면서부터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교정랑청(校正郞廳)이 되어 경서훈해(經書訓解)를 맡아 보다가 중부참봉, 내자사직장, 호조좌랑, 형조정랑, 청주목사, 판결사, 호조참의, 강원도안무사, 파주목사 (中部參奉, 內資寺直長, 戶曹佐郞, 刑曹正郞, 淸州牧事, 判決事,戶曹參議, 江源道按撫使, 破州牧使 등을 역임하면서 제세안민(濟世安民)을 위한 선정(善政)을 베풀었고 특히, 청주목사를 지낼 때는 정화의 덕(淨華之德)과 돈실의 정(敦實之政)이 베풀어 지고 문교(文敎)가 일어나 학풍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는 동국지리에 관계된 것을 고전에서 뽑아 구암의 견해를 붙인 책인 바, 고구려, 백제, 신라 등에 관한 기록을 中國의 고전에서 인용하고 자기의 의견을 더한 것이다. 또한 그는 주역(周易)과 예기(禮記)에 통달하여 선조께서 승하할 때는 빈전도감 당상(殯殿都監 堂上)을 맡았다.
Total 6,673건 1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movement.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movement.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