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의 쟁점과 그 문제가되는점 및 해결방안(方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5:46
본문
Download : 한국교육의 쟁점과 그 문제점 및 해결방안.hwp
한국교육의쟁점과그문 , 한국교육의 쟁점과 그 문제점 및 해결방안경영경제레포트 ,





다.
순서
한국교육의쟁점과그문
학교붕괴의 지표 및 학교붕괴로 인해 나타난 사회 현상을 살펴보고, 학교 붕괴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방향 전환을 정리했습니다.
설명
Download : 한국교육의 쟁점과 그 문제점 및 해결방안.hwp( 76 )
레포트/경영경제
한국교육의 쟁점과 그 문제가되는점 및 해결방안(方案)
1. 학교붕괴의 지표
1) 수업의 붕괴
2) 생활 지도의 붕괴
3) 학교 교육의 본질적 기능 붕괴
4) 교사 - 학부모의 파트너십 붕괴
2. 학교붕괴로 인해 나타난 사회 현상
1) 학교폭력
2) 집단 따돌림( 왕따 )
3) 사교육비 문제
4) 촌지 문제
5) 조기 유학 및 교육 이민
6) 사학 비리 문제
3. 학교 붕괴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방향 전환
1. 현재의 산업 사회적 학교 모델이 ‘정보화’로 대변되는 후기 산업 사회에서 그다지 유효하지 못하기 때문.
2. 교사를 비롯한 기성세대의 산업 사회에서의 경험이 소비 자본주의 시대를 살고 있는 靑少年들의 세계와 의식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
3. 한국 교육을 지배한 관료적 권위주의 → 교사들들 무능과 피동성, 무기력과 극도의 소진으로 몰아세움 → 학교 붕괴 현상을 방치
2. 학교붕괴로 인해 나타난 사회 현상
1) 학교폭력 ☜ 이지헌·유정수·손승남 공저(1999). 교육의 탐구. 학지사
김호권·이성진·이상주 엮음(2000). 학교가 무너지면 未來(미래)는 없다. 교육과학사
① 개념(槪念) :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학생 간, 학생-교사 간 폭력은 물론 학생의 기물 파괴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槪念)으로 학술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음.
② 유형 : 오끼하하 유타카(日本(일본)의 교육학자) 에 의한 분류
- 경증형 : 주로 학생폭력에 한정. 대교사폭력이나 기물파괴 폭력이 거의 없음.
한국, 인도네시아, 멕시코, 벨기에, 모로코, 이집트 등 13개국이 해당.
- 중증형 : 기물파괴 폭력과 학생간 폭력이 일어남. 대교사폭력은 비교적 적음.
(中)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캐나다 등 51개국이 해당.
<대책>학생 위주의 교육개혁을 서두르고, 학칙을 현실에 맞게 개정하고 교원조합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가 단결하여 등·하교 지도를 하는 등 실천 가능한 민간 차원의 대안을 모색.
- 중증형 : 학교폭력의 3대 요소인 대교사폭력, 기물파괴 폭력, 학생간 폭력의 모(重)든 것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
영국, 핀란드, 미국, 日本(일본), 중앙 아프리카 등이 해당.
<대책>경찰을 교문에 배치한다든가 학교폭력 특별위원회를 둔다든가 하는 등의 강력한 대칙을 구사.
③ reality(실태) : 초·중·고생 10명 가운데 8명 정도는 학교폭력이 심각한 상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10명 중 4명꼴로 동급생이나 선후배 등의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됨. ☜ 한겨례신문, 1998. 3. 13.…(생략(省略))
,경영경제,레포트
학교붕괴의 지표 및 학교붕괴로 인해 나타난 사회 현상을 살펴보고, 학교 붕괴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방향 전환을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