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신앙의 합리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15:42
본문
Download : 민간 신앙의 합리성.hwp
삼신의 자리는 안방의 아랫목인데 신체는 삼신자루(또는 제석…(省略)
Download : 민간 신앙의 합리성.hwp( 46 )
순서
다. 아이를 갖게 하는 일부터 그 후의 일까지 돌보아주므로 아이를 갖지 못하면 삼신에게 빈다. 여기 대주는 집안의 호주(戶主)를 뜻한다. 새로운 호주가 가定義(정의) 질서체계에 適應(적응)하듯 새 성주 역시 그러한 질서체계를 이어받는 것이다. 삼신의 점지를 받아 아이를 갖게 되면 역시 그 힘으로 태어나는데 아이는 7살 때까지 삼신의 보호를 받는다. 그 후부터의 수명은 칠성신이 관장한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민간 신앙의 합리성에 대한 글입니다. 성주에 대한 의례는 다른 가신과는 달리 대주가 참석하여 직접 행하기도 한다.
2) 삼신(三神)
삼신은 아이를 갖게 하고, 출산을 도와주며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보살펴주는 가신이다. 이렇게 가옥과 밀접하게 관련하고 있어 가옥신(家屋神)이라고도 한다. 그래서 성주 제의(祭儀) 때에는 ‘성주는 대주를 믿고 대주는 성주를 믿는다.한국인의_지혜_1차 , 민간 신앙의 합리성인문사회레포트 ,






민간 신앙의 합리성에 대한 글입니다. 호주가 세상을 떠나면 기존의 성주 신체를 태워서 없애고 새 호주를 맞아 성주도 새로 맨다. 그런데 성주가 살아있는 대주(大主)를 상징하기도 한다.
한국인의_지혜_1차
민간 신앙의 합리성
Ⅰ. 서론
- 생활속의 가신신앙
Ⅱ. 가신의 定義(정의)
Ⅲ. 가신의 종류와 봉안위치
1) 성주신(城主神)
2) 조왕(徂往)
3) 삼신(三神)
4) 측신(廁神)
5) 장독신
6) 수문신(守門神)
7) 정신(井神)
8) 지신(地神)
9) 업(業)
Ⅳ. 가신의 성격과 역할
- 합리성과 과학성
Ⅴ. conclusion(결론)
- 가신의 현대적 의의
성주는 가옥을 신축했거나 이사를 했을 때에는 반드시 새로 맨다.’는 말부터 주언(呪言)을 한다. 새 성주는 새로 호주가 된 사람이 이어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