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자치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07:06
본문
Download : 지방교육자치제도.hwp
이때 군에는 의결기관으로 시.군 교육위원회를, 집행기관으로 교육감을 두었으며, 도에는 교육에 관한 도지사의 자문기관으로 도교육위원회를 두었고, 서울특별시와 기타의 시는 의결기관을 시의회로 하고, 합의제 집행기관으로서 시교육위원회를 두었으며, 그 사무장 격으로 교육감을 두었다. 政府(정부) 수립 후 1년여 만인 49년 12월 31일 법률 제 86호로 교육법이 공포되었다.
지방교육자치제도에 관련되어 교육자치제도의 concept(개념)과 우리나라 교육자치제도의 역사를 살펴보고 현행 우리나라의 교육자치제도의 동향과 문제점(問題點)과 주요선진국의 지방교육자치제를 조사하고 improvement(개선) 방향에 관련되어 요약∙정리(整理) 했습니다.
▶ 1952년 4월 교육법시행령이 공포됨으로서 교육 자치의 완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같은 해 4월 면.읍.시의원 및 도의원 선거의 실시로 같은 해 5월 시.군 교육위원회 위원이 선출되고 6월에 시.군 교육위원회가 발족됨으로서 history적인 교육자치제가 실시되었다. , 지방교육자치제도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지방교육자치제도.hwp( 70 )
순서
설명





다.
,법학행정,레포트
1. 교육자치제도의 개념(槪念)
2. 우리나라 교육자치제도의 history
3. 교육자치제도의 현재상황과 drawback(걸점)
4. 주요선진국의 지방교육자치제
5. point 쟁점
6. 改善(개선) 방향
1. 교육자치제도의 개념(槪念)
① 교육행정의(定義) 지방분권을 통하여 주민의 참여의식을 높이고 각 지방의 실정에 맞는 적합한 교육정책을 강구∙실시함으로써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려는 교육제도.
② 지방분권 사상과 민중통제라는 자유 민주주의 이념에 기초하여 일정한 구역을 기초로 교육 자치 기구를 두어 주민의 부담과 책임 하에 그 지방교육의 발전 사업을 실현. 지방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적 관리를 위해 교육자치기구에 자주적이고 전문적인 역할과 능력을 부여.
③ 기본원칙 4가지 : 지방분권의 원칙, 전문적 관리의 원칙, 주민통제의 원칙, 자주성의 원칙
2. 우리나라 교육자치제도의 history
(1) 지방교육자치 도입∙시도기 (해방 후~ 5.16 군사정변)
▶ 8.15 해방 후 미군정은 48.8.12. 군정법령 제 216호로 `교육구의 설치` 및 제 217호로 `교육구 회의 설치`를 공포하였지만 공포된 지 3일 만에 대한민국政府(정부)가 수립됨으로써 실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후 `교육법`제정에 큰 影響을 주었다.
▶ 1961년 8월에 조직되었던 `행정기구 개혁 심의위원회`의 건의에 따라 같은 해 10월 행정기구 간소화 및 지방행정 일원화의 원칙아래 시교육구와 시교육위원회는 시장 군수 산하의 교…(省略)
지방교육자치제도
레포트/법학행정
지방교육자치제도에 대해서 교육자치제도의 개념과 우리나라 교육자치제도의 역사를 살펴보고 현행 우리나라의 교육자치제도의 현황과 문제점과 주요선진국의 지방교육자치제를 조사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서 요약∙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