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도서관에 대한 인식 제고(提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9 02:08
본문
Download : 대학도서관에 대한 인식 제고(提高).hwp
제대로 된 PR을 위해서는 그 조직과 관계를 맺고 있는 공중에 대한 파악이 기본적인 출발점이다. 제대로 된 PR을 위해서는 ... , 대학도서관에 대한 인식 제고(提高)경영경제레포트 ,
PR은 [공중에 대한 조사와 analysis → PR 계획 수립 → PR 활동 수행 → PR효과 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안광래는 도서관의 공중을 공통성별(共通性別)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공중(公衆)은 ‘한 조직체가 그 목표(goal)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립한 정책이나 계획에 직접·간접적으로 이해관계를 가지며 그 조직의 정책활동에 影響(영향)을 미치는 대내외적인 개개인과 집단’이라고 definition 할 수 있따 백상기, 앞의 글, 128쪽.
도서관의 발전은 도서관을 둘러싸고 있는 도서관과 관계가 있는 모든 공중의 호의적인 이해와 기대에 의존한다 안광래,「도서관의 PR과 Communication media」,《도협회보》. 제26권 2호(1985). 12쪽.
고 해도 과언은 아닐 정도로 도서관 PR에서 공중은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각 대학도서관은 공중에 대한 조사를 거쳐 problem(문제점)들을 파악한 후 세분화된 그룹별로 적절한 PR활동을 계획해야 할 것이며 도서관마다 그 조사의 결과가 다를 것이므로 그에 따른 PR 계획도 해당 도서관의 特性에 맞게 진행되어야 한다.
대학도서관에 대한 인식 제고(提高)
PR은 [공중에 대한 조사와 분석 → PR 계획 수립 → PR 활동 수행 → PR효율 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ownload : 대학도서관에 대한 인식 제고(提高).hwp( 63 )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경영경제,레포트
PR은 [공중에 대한 조사와 분석 → PR 계획 수립 → PR 활동 수행 → PR효과 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위의 글, 12-13쪽.
① 도서관에 종사하는 사람들
② 봉사대상으로서의 공중
- 잠재적 이용자를 포함한 도서관 이용자
- 도서관의 모기관에 종사하는 경영자 및 고용원들
③ 도서관과 상호협동하는 공중
- 도서관 연합단체의 직원들
- 국가기관중 도서관 행definition 전담부서의 직원들 및 도서관 재정을 지 원하는 부서의 직원들
- 상호협력망을 맺고 있는 도서관 직원들
④ 도서관을 상대로 사업을 하는 공중
- 출판사의 직원 및 경영자들
- 각종의 정보資料 판매자들
- 도서관 비품 및 용품 생산업체의 직원들
도서관은 이처럼 다양한 관계의 공중들과 이해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들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따 이들 모두와의 관계 개선이 도서관 PR의 목적이다. 제대로 된 PR을 위해서는 ...
다.